조선왕릉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릉은 조선(1392~1897)과 대한제국(1897~1910) 시대에 조성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이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왕조는 왕릉 조성과 관리에 효(孝)와 예(禮)를 갖추어 정성을 다하였다. 왕릉을 조성할 때에는 풍수사상에 따라 최고의 명당을 선정하고, 최소한의 건조물을 설치하여 주변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왕릉 조성과 관련된 모든 절차와 관리실태는 상세하게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모범으로 삼도록 하였고, 현재까지도 각 왕릉에서는 매년 왕릉제향을 지내면서 역사적 전통을 잇고 있다. 조선왕릉과 같이 500년 이상 이어진 한 왕조의 왕릉들이 훼손 없이 온전히 남아 있는 예는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다. 이러한 역사적·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6월 30일, 대한민국 소재 40기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조선왕릉 분포도
사적명칭 | 능호 | 능주 | 형태 |
---|---|---|---|
구리 동구릉 | 건원릉(健元陵) | 1대 태조 | 단릉 |
현릉(顯陵) | 5대 문종과 현덕왕후 | 동원이강릉 | |
목릉(穆陵) | 14대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 | 동원이강릉 | |
휘릉(徽陵) | 16대 인조비 장렬왕후 | 단릉 | |
숭릉(崇陵) |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 쌍릉 | |
혜릉(惠陵) | 20대 경종비 단의왕후 | 단릉 | |
원릉(元陵) | 21대 영조와 정순왕후 | 쌍릉 | |
수릉(綏陵) | 추존 문조와 신정황후 | 합장릉 | |
경릉(景陵) | 24대 헌종과 효현황후·효정황후 | 삼연릉 | |
서울 헌릉과 인릉 | 헌릉(獻陵) | 3대 태종과 원경왕후 | 쌍릉 |
인릉(仁陵) | 23대 순조와 순원황후 | 합장릉 | |
여주 영릉과 영릉 | 영릉(英陵) | 4대 세종과 소헌왕후 | 합장릉 |
영릉(寧陵) | 17대 효종와 인선왕후 | 동원상하릉 | |
영월 장릉 | 장릉(莊陵) | 6대 단종 | 단릉 |
남양주 광릉 | 광릉(光陵) | 7대 세조와 정희왕후 | 동원이강릉 |
고양 서오릉 | 창릉(昌陵) | 8대 예종과 안순왕후 | 동원이강릉 |
경릉(敬陵) |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 동원이강릉 | |
명릉(明陵) | 19대 숙종과 인현왕후·인원왕후 | 동원이강릉 | |
익릉(翼陵) | 19대 숙종비 인경왕후 | 단릉 | |
홍릉(弘陵) | 21대 영조비 정성왕후 | 단릉 | |
서울 선릉과 정릉 | 선릉(宣陵) | 9대 성종과 정현왕후 | 동원이강릉 |
정릉(靖陵) | 11대 중종 | 단릉 | |
고양 서삼릉 | 희릉(禧陵) | 11대 중종비 장경왕후 | 단릉 |
효릉(孝陵) | 12대 인종과 인성왕후 | 쌍릉 | |
예릉(睿陵) | 25대 철종과 철인황후 | 쌍릉 | |
서울 태릉과 강릉 | 태릉(泰陵) | 11대 중종비 문정왕후 | 단릉 |
강릉(康陵) |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 쌍릉 | |
김포 장릉 | 장릉(章陵) |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 쌍릉 |
파주 장릉 | 장릉(長陵) | 16대 인조와 인열왕후 | 합장릉 |
서울 의릉 | 의릉(懿陵) | 20대 경종과 선의왕후 | 동원상하릉 |
파주 삼릉 | 공릉(恭陵) | 8대 예종비 장순왕후 | 단릉 |
순릉(順陵) | 9대 성종비 공혜왕후 | 단릉 | |
영릉(永陵) | 추존 진종과 효순황후 | 쌍릉 | |
화성 융릉과 건릉 | 융릉(隆陵) | 추존 장조와 헌경황후 | 합장릉 |
건릉(健陵) | 22대 정조와 효의황후 | 합장릉 | |
남양주 홍릉과 유릉 | 홍릉(洪陵) | 대한제국 1대 고종과 명성황후 | 합장릉 |
유릉(裕陵) | 대한제국 2대 순종과 순명황후·순정황후 | 합장릉 | |
서울 정릉 | 정릉(貞陵) | 1대 태조비 신덕황후 | 단릉 |
남양주 사릉 | 사릉(思陵) | 6대 단종비 정순왕후 | 단릉 |
양주 온릉 | 온릉(溫陵) | 11대 중종비 단경왕후 | 단릉 |
조선왕릉 형태
-
단릉 왕, 왕비의 능침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
-
쌍릉 왕과 왕비의 능침을 나란히 조성한 능
-
합장릉 왕과 왕비를 한 능침에 합장한 능
-
동원이강릉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능
-
동원상하릉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능침을 위 아래로 조성한 능
-
삼연릉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능침을 나란히 조성한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