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경복궁 전경
1392년 조선 건국 후 태조는 3년 뒤에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기기 위해 궁궐을 지었다. 제일 처음으로 지어진 경복궁(景福宮)은 백악산을 주산으로 넓은 지형에 건물을 배치한 법궁으로 태조는 이곳에서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왕자의 난 이후 정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수도를 개성으로 다시 옮겼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자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옮겼다.
이때 태종은 경복궁이 아닌 새로운 이궁(離宮)을 지었는데 1405년(태종 5)에 완성한 창덕궁(昌德宮)이다. 창덕궁은 정치의 공간과 생활의 공간이 조화를 이룬 조선의 대표적인 궁궐로 조선의 역대 왕들 대부분이 창덕궁에서 생활하였으며,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1418년 세종이 왕위에 오른 후 상왕 태종을 위해 창덕궁 동쪽에 수강궁(壽康宮)을 지었다. 이후 이곳을 1483년(성종 14) 성종이 세 명의 대비를 위해 크게 확장하고 궁의 이름을 창경궁(昌慶宮)이라 하였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영역이었는데 창덕궁의 정치의 공간이었다면 창경궁은 생활의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창덕궁 주합루
그러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이 모두 소실되었다. 이듬해에 선조는 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사저를 임시 궁궐로 사용하였고 이름을 정릉동 행궁(貞陵洞 行宮)이라 불렀다. 이후 이곳은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
경운궁(慶運宮)으로 이름이 정해지면서 정식 궁궐이 되었다. 한편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궁궐 중에서 가장 먼저 중건된 궁은 창덕궁이다. 이로 인해 창덕궁이 실질적인 법궁이 되었고 이후 옥류천, 규장각, 주합루, 연경당, 낙선재 등의 건물이
조성되어 창덕궁의 영역은 점차 넓어지게 되었다.
창덕궁이 중건된 이후 광해군은 인왕산의 왕기를 누르기 위해 자수궁(慈壽宮), 인경궁(仁慶宮), 경덕궁(慶德宮)의 세 궁궐을 짓기 시작하였다. 자수궁은 현재 서울 종로구 옥인동 부근에 있었던 궁궐로 정확한 규모는 알 수 없으며 1623년 인조반정 때 폐해지면서 자수원(慈壽院)이 되었다. 인경궁은 현재 서울 종로구 사직단 부근에 있었던 궁궐로 정확한 규모는 알 수 없으나 여러 전각의 이름과 규모를 살펴보면 궁궐 영역이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창경궁 함인정
주요 전각으로는 정문인
명화문(明化門), 정전인 홍정전(弘政殿), 편전인 광정전(光政殿), 그 밖에 생활 공간인 경수전(慶壽殿), 흠명전(欽明殿), 중휘당(重暉堂)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인경궁은 인조 재위 후반부터 점점 철거되어 현재는 어떤 흔적도 남아 있지 않다.
경덕궁은 현재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에 위치한 궁궐로 영조대에 경희궁(慶熙宮)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곳은 서궐(西闕)이라 불린 규모가 큰 궁궐로, 주요 전각으로는 정문인 흥화문(興化門), 정전인 숭정전(崇政殿), 편전인 자정전(資政殿), 그 밖에 생활공간인 융복전(隆福殿), 회상전(會祥殿) 등이 있었다. 특히 숙종대 후반부터 영조대까지 대부분을 경희궁을 사용하였다.
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한편,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지 270여년이 지난 1867년(고종 4) 경복궁이 중건되었다. 이후 고종 재위 대부분의 기간 동안 경복궁을 사용하였으며 건청궁, 태원전, 집옥재 등이 조성되었다. 이후 1897년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경운궁을 사용했다. 이때 근대식 건물을 짓기 시작하여 대한제국의 황궁으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추어 조선과 대한제국의 건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후 경운궁은 1907년 고종이 황위에서 물러나자 궁의 이름을 덕수궁(德壽宮)으로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